반응형

아담 5

[전작시] 가인과 아벨의 이름에 담긴 의미 2

전 시간에 아담과 하와가 에덴에서부터 쫓겨나 한 지역에 정착하면서 벌어진 대략적인 일들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번 시간엔 본격적으로 하와가 두 아들에게 그런 의미의 이름을 담았는지 알아보자.  아담이 그의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임신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창 4:1) 의문 2. 왜 하와는 '득남'이라고 했을까?여기서 말하는 "득남"의 히브리 원어를 보면 "קניתי איש (카니티 이쉬)"라고 나와 있다.이걸 그대로 직역한다면 "קניתי-(카니티:얻다, 창조하다) איש-(이쉬:남자)"라는 의미이다.요즘이야 보통 '득남'은 '아들을 낳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만 성경 원문은 좀 뉘앙스가 다르게 느껴진다. 가정 1. 하와는 아들을 아담과 동등한 존재로 인식..

말씀묵상 2024.07.04

[전작시] 가인과 아벨의 이름에 담긴 의미 1

남아선호사상은 국경과 시대를 불문하고 뚜렷한 강세를 보여왔다. 가족을 지키고 사냥과 일을 하는 주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일 것이다.뭐 최근엔 인구절벽을 넘어 국가 소멸단계에 이르러 남아선호사상은 자취를 감췄지만...  이번 시간엔 아담과 하와의 두 아들인 가인과 아벨의 이름에 담긴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아담이 그의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임신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창 4:1) 의문 1. 왜 하와는 '여호와'를 찾았을까?의학이 발달한 요즘도 아이를 낳는 건 상당한 위험을 가지고 있다. 하물며 약 6,000년 전 의학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아담 당시에 아이를 낳는다는 건 정말 하나님을 의지할만한 일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건 아담과..

카테고리 없음 2024.07.04

[전작시] 그 많은 사람은 어디서 나왔나? (짧음 주의)

주께서 오늘 이 지면에서 나를 쫓아내시온즉 내가 주의 낯을 뵈옵지 못하리니 내가 땅에서 피하며 유리하는 자가 될지라 무릇 나를 만나는 자마다 나를 죽이겠나이다 (창 4:14) 성경을 처음 읽는 사람이나 새신자들이 이 구절에서 혼란을 겪는다. 창 4:14까지 등장한 사람이라곤 아담, 하와, 가인, 아벨이 전부인데 갑자기 '나를 만나는 자'라며 아담과 하와 이외의 사람이 있다는 듯한 발언을 한다. 물론 성경공부를 좀 해본 사람이라면 가인이 저렇게 말하는 시기가 에덴에서 쫓겨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 아닌 상당히 많은 시간이 지난 이후라고 알고 있기에 큰 혼란은 없을 것이다.  그럼 자세하게 '그 많은 사람은 어디서 나왔는지' 확인해 보자. 1. 아담과 하와가 몇 살 때 가인을 낳았을까?가인이 태어난 때가..

말씀묵상 2024.07.02

[전작시] 선악과에 대하여 3

시작하기 전에 정정 안내.의문 2에서 "여자는 아직 하나님을 만나지 못했다"라고 했는데 제가 잘못 알았습니다.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창 2:22) 라고 써 있는 부분을 제가 잊어버렸네요.하나님이 여자를 만드신 후 그녀를 아담에게 '직접 이끌어 오셨기' 때문에 하나님과 여자는 만나 적이 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이끌다"라는 히브리어 "יְבִא" (예브이) 는 3인칭 단수 남성형 동사 입니다. 이끄는 주체가 남성이라는 말이고 그 남성이 '아담' 아니면 '하나님'인데 문맥상 아담은 아직 여자를 만나기 전이니 이 남성은 '하나님'이 되는 겁니다. 즉, 하나님이 하와를 이끌어 아담에게로 오셨기에 하나님과 여자는 만난 것이 됩니다. 하지..

말씀묵상 2024.07.02

[전작시] 아담의 나이는?? (짧음 주의)

아담은 백삼십 세에 자기의 모양 곧 자기의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아담은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그는 구백삼심 세를 살고 죽었더라 (창 5 : 3 ~ 5)  창세기 5장엔 아담의 나이가 나온다.  평소엔 그렇구나하고 넘어갔는데 오늘 문득 의문이 들었다. '아담이 130세에 자식을 낳았다면, 이 130세는 언제부터일까?'  아담이 최초로 만들어진 때부터 130년 일까?아니면 에덴에서 쫓겨난 지 130년 일까? 개인적으로 '후자'를 생각했다.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기 이전엔 '죽음'이 있지 않았다. 영생의 삶이었고 그런 삶을 사는 인간에게 '나이'는 전혀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창 2장~3장까지 에덴에서 날짜에 관한 이야기는 한 번도 나오지..

말씀묵상 2024.07.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