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말씀묵상 9

[전작시] 가인이 성(城)을 만든 이유는?

가인이 아벨을 죽였을 때 하나님은 가인에게 한 말이 있다. "너는 땅에서 유리하는 자가 되리라" 그리고 가인도 그 말씀을 따라 '유리하는 자가 될 것'이라는 얘기를 한다. 그런데 왜 가인은 떠돌이 생활을 접고 하나님 말씀을 거역하면서 정착하고 성(城)을 만들었을까?● 네가 밭을 갈아도 땅이 다시는 그 효력을 네게 주지 아니할 것이요 너는 땅에서 피하며 유리하는 자가 되리라 (창 4:12) ●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임신하여 에녹을 낳은지라 가인이 성을 쌓고 그의 아들의 이름으로 성을 이름하여 에녹이라 하니라 (창 4:17) 가인의 아내 (창 4:17)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할 것 같은 가인은 어느 순간 가인은 떠돌기를 멈추고 에덴 동쪽 놋땅에 거주하기 시작한다. 가인이 거주를 시작한 이유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말씀묵상 2024.07.07

[전작시] 가인의 제사 VS 아벨의 제사

가인과 아벨의 이름에 관해 알아봤으니 이제는 그 둘의 제사에 대해 알아보자. 성경에 나온 대로 가인의 제사는 하나님이 받지 않고, 아벨의 제사만 받았다고 알고 있다. 과연 정말 그런지 성경을 통해 알아보자.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아벨은 자기도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렸더니 여호와께서 아벨과 그의 제물은 받으셨으나 가인과 그의 제물은 받지 아니하신지라 가인이 몹시 분하여 안색이 변하니 (창 4:3~5) 1. 가인의 제물가인의 직업은 농부다. 가인이 할 수 있는 건 아버지 뒤를 이어 농사일 밖에 할 수 없었고, 당연하게도 농사를 짓는 농부의 제물은 땅의 소산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성경은 "가인의 제물을 받지 않았다"라고 표현했다. 누군가는 "가인의 제물이..

말씀묵상 2024.07.05

[전작시] 가인과 아벨의 이름에 담긴 의미 2

전 시간에 아담과 하와가 에덴에서부터 쫓겨나 한 지역에 정착하면서 벌어진 대략적인 일들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번 시간엔 본격적으로 하와가 두 아들에게 그런 의미의 이름을 담았는지 알아보자.  아담이 그의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임신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창 4:1) 의문 2. 왜 하와는 '득남'이라고 했을까?여기서 말하는 "득남"의 히브리 원어를 보면 "קניתי איש (카니티 이쉬)"라고 나와 있다.이걸 그대로 직역한다면 "קניתי-(카니티:얻다, 창조하다) איש-(이쉬:남자)"라는 의미이다.요즘이야 보통 '득남'은 '아들을 낳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만 성경 원문은 좀 뉘앙스가 다르게 느껴진다. 가정 1. 하와는 아들을 아담과 동등한 존재로 인식..

말씀묵상 2024.07.04

[전작시] 그 많은 사람은 어디서 나왔나? (짧음 주의)

주께서 오늘 이 지면에서 나를 쫓아내시온즉 내가 주의 낯을 뵈옵지 못하리니 내가 땅에서 피하며 유리하는 자가 될지라 무릇 나를 만나는 자마다 나를 죽이겠나이다 (창 4:14) 성경을 처음 읽는 사람이나 새신자들이 이 구절에서 혼란을 겪는다. 창 4:14까지 등장한 사람이라곤 아담, 하와, 가인, 아벨이 전부인데 갑자기 '나를 만나는 자'라며 아담과 하와 이외의 사람이 있다는 듯한 발언을 한다. 물론 성경공부를 좀 해본 사람이라면 가인이 저렇게 말하는 시기가 에덴에서 쫓겨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 아닌 상당히 많은 시간이 지난 이후라고 알고 있기에 큰 혼란은 없을 것이다.  그럼 자세하게 '그 많은 사람은 어디서 나왔는지' 확인해 보자. 1. 아담과 하와가 몇 살 때 가인을 낳았을까?가인이 태어난 때가..

말씀묵상 2024.07.02

[전작시] 선악과에 대하여 3

시작하기 전에 정정 안내.의문 2에서 "여자는 아직 하나님을 만나지 못했다"라고 했는데 제가 잘못 알았습니다.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창 2:22) 라고 써 있는 부분을 제가 잊어버렸네요.하나님이 여자를 만드신 후 그녀를 아담에게 '직접 이끌어 오셨기' 때문에 하나님과 여자는 만나 적이 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이끌다"라는 히브리어 "יְבִא" (예브이) 는 3인칭 단수 남성형 동사 입니다. 이끄는 주체가 남성이라는 말이고 그 남성이 '아담' 아니면 '하나님'인데 문맥상 아담은 아직 여자를 만나기 전이니 이 남성은 '하나님'이 되는 겁니다. 즉, 하나님이 하와를 이끌어 아담에게로 오셨기에 하나님과 여자는 만난 것이 됩니다. 하지..

말씀묵상 2024.07.02

[전작시] 아담의 나이는?? (짧음 주의)

아담은 백삼십 세에 자기의 모양 곧 자기의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아담은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그는 구백삼심 세를 살고 죽었더라 (창 5 : 3 ~ 5)  창세기 5장엔 아담의 나이가 나온다.  평소엔 그렇구나하고 넘어갔는데 오늘 문득 의문이 들었다. '아담이 130세에 자식을 낳았다면, 이 130세는 언제부터일까?'  아담이 최초로 만들어진 때부터 130년 일까?아니면 에덴에서 쫓겨난 지 130년 일까? 개인적으로 '후자'를 생각했다.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기 이전엔 '죽음'이 있지 않았다. 영생의 삶이었고 그런 삶을 사는 인간에게 '나이'는 전혀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창 2장~3장까지 에덴에서 날짜에 관한 이야기는 한 번도 나오지..

말씀묵상 2024.07.01

[전작시] 선악과에 대하여 2

지난 시간에 선악과의 이름과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어서 선악과를 먹기 직전의 상황을 살펴보자. 창 3:1 ....  뱀이 여자에게 물어 이르되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뱀이 나타나서 여자에게 나타나 물었다. 단, 하나님의 말씀을 비틀어서 물었다.   창 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그러자 여자가 대답했다. "너희가 죽을까 싶으니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라고. 근데 여자의 대답에서 세 가지 하나님과 다른 대답을 한다.  첫째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여자는 '선악과'라는 단어보단 '동산 ..

말씀묵상 2024.06.20

[전작시] 선악과에 대하여 1

여호와 하나님이 그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나무가 나게 하시니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더라 (창 2:9) 성경의 처음 시작부터 인간의 비극이 나온다. 바로 이 선악과를 따먹는 비극을.그리고 이 비극을 통해 성경의 역사는 시작되고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계획도 시작된다.  우리는 이 선악과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설교시간에 여러차례 얘기를 들었지만 선악과에 대한 구체적인 말씀을 듣기는 쉽지 않다. 성경에서도 선악과에 대한 얘기는 창세기에서만, 그것도 2장과 3장에서만 언급되기에 알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도 성경에 나온 것을 토대로 "선악과"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로 우리가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하는 건 바로 이 "선악과"라는 이름이다.이름만 보면 마..

말씀묵상 2024.06.20

[전작시] 창세기를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바라보기

성경 66권 중 창세기는 태초의 시작을 알리는 책으로 많은 상상력을 자극하게 하는 책이다.하지만 창세기를 문자적으로만 읽게 된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상당히 난해한 책이기도 하다.특히 창세기 1장과 2장은 하나님이 만드신 창조 순서가 서로 모순처럼 보인다. 창 1:11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창 1:20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들은 생물을 번성하게 하라 땅 위 하늘의 궁창에는 새가 날으라 하시고창 1:24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내되 가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창 2:5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였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

말씀묵상 2024.03.04
반응형